올 한 해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하는 우리 '굿' 한마당이 펼쳐진다.
광산농악보존회는 산정동 지실마을과 광산농악전수교육관에서 오는 8일 오후1시 '산정동 지실마을 대보름굿'을 개최한다.
프로그램은 지실마을 입구에서 문굿을 시작으로 '지실마을 마당밟이', '지실마을 샘굿', '어등당산 당산제', '광산농악 판굿' 순서로 진행된다.
'지실마을 마당밟이'에서는 광산농악과 함께 지실마을 각 호를 돌며 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달래 연중 무사를 빌고, 집주인은 이들을 대접한다. 마당밟이는 집터를 지켜주는 지신에게 고사를 올리고 풍물을 울리는 세시풍속으로 정월 대보름을 전후로 진행된다.
이어 마을 공동우물인 샘에서 샘굿을 진행한다. '우물굿'이라고도 불리는 샘굿은 마을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샘을 관리한다는 의식에서 출발해 샘물의 정갈함과 무궁함을 빌기 위해 행하는 의례다. 호남 지방에서는 마을에 풍물굿을 칠 때 우물고사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어등당산 당산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제사다. 마을의 풍년과 평안을 위한 제의인 한편, 마을 사람들 모두가 참여해 즐김으로써 축제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끝으로 지금은 보기 힘든 성주굿과 무형유산 광산농악의 판굿을 펼친다.
성주굿은 광주지역의 특색 있는 남도소리로, 가신인 성주신에게 식구들의 재앙을 물리치고 행운을 바라며 비는 무속의례다.
종합예술 판굿은 걸립패와 남사당패가 연행하던 음악과 놀이의 종합 예술이다. 진법놀이를 시작으로 상쇠놀이, 소고놀이, 상모 등 광산농악이 선물하는 신명나는 우리 가락으로 올 한 해의 행복을 빌어줄 예정이다.
이날 부대행사로는 '소원지 쓰기', '부럼 나눔', '민속놀이 체험' 등이 함께 진행돼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시간으로 마련된다.
광산구 산정동 지실마을은 오래 전부터 정월대보름에 당산제를 지내온 마을로 현재도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하지만 노령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악은 사라지고 제만 지내면서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광주시 무형유산인 광산농악전수교육관이 마을에 들어섰고 올해에는 광산농악에서 당산굿, 샘굿, 마당밟이, 판굿 등 다채로운 정월대보름 마을굿을 마을민들과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
한석중 광산농악보존회 사무국장은 "잊히고 사라져 가는 우리 전통을 재현하여 무형유산과 함께 산정동 지실마을 대보름굿을 복원하고, 시민들과 더불어 1년 한해 만복과 평안을 기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문화, 여행, 공연 등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srb.co.kr 전화 062-606-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