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장과 서부농수산물검사소장을 역임하고 현재 '지구환경을 지키는 꿀벌 지킴이'로 활동 중인 꿀벌 수의사 김용환·기혜영 원장이 세계 꿀벌의 날을 맞아 책 '꿀벌세계와 꿀벌수의사'(다사랑책방)를 펴냈다.
책은 총 4부 11장으로 구성돼 꿀벌의 생태와 위기, 꿀벌을 치료하고 지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저자들은 꿀벌이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를 데이터와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전 세계 주요 농작물의 71% 이상이 꿀벌의 수분(受粉) 활동에 의존하고 있으며, 꿀벌 한 마리는 하루 평균 2천~3천 송이의 꽃을 방문한다. 꿀벌이 평생 모으는 꿀은 작은 숟가락의 1/12에 불과하다. 결국 한 통의 꿀단지를 채우려면 수만 마리의 벌들이 협력해야 하는 셈이다.
이러한 꿀벌은 지구온난화, 이상기후,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다. 폭염과 가뭄은 농작물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겨울철 한파는 꿀벌의 집단 폐사를 유발한다. 책은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 보호가 꿀벌 보호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말벌, 개미, 새, 쥐, 곰, 응애(진드기) 등 천적으로 인한 피해도 심각하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기계적, 화학적 방제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한다.
책에는 꿀벌 수의사라는 다소 생소한 직업에 대한 소개도 담겼다. 꿀벌 수의사는 병든 꿀벌을 진료하고, 꿀벌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양봉 농가를 찾아 꿀벌의 건강을 점검하고, 관련 정책 자문과 보호 활동도 병행한다.
저자들은 프롤로그에서 "꿀벌 한 마리를 살리는 것은 곧 지구환경을 살리는 일"이라며 "꿀벌이 좋아하는 꽃을 심고, 농약 사용을 줄이며, 도시에서도 벌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일상에서의 작은 실천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책을 지은 김용환 원장과 기혜영 원장은 현재 글로벌꿀벌동물병원 원장을 지내고 있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문화, 여행, 공연 등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srb.co.kr 전화 062-606-7700